0 of 17 문제 completed
Questions:
You have already completed the 시험 before. Hence you can not start it again.
시험 로딩중…
You must sign in or sign up to start the 시험.
You must first complete the following:
0 of 17 문제 answered correctly
시험시간:
시험시간이 지났습니다.
점수획득: 0점/총점 0점, (0)
Earned Point(s): 0 of 0, (0)
0 Essay(s) Pending (Possible Point(s): 0)
도시공간구조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7년 기출]
도시공간구조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3년 기출]
다음 내용을 모두 만족시키는 도시공간구조이론은? [18년 기출]
○ 서로 다른 도시활동 중에서 집적 불이익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활동은 상호 분리되는 경향이 있다.
○ 도시활동 중에는 교통이나 입지의 측면에서 특별한 편익을 필요로 하는 기능들이 있다.
○ 해리스(C. Harris)와 울만(E. Ullman)이 주장하였다.
다음에서 설명하는 도시공간구조이론은?[12년 기출]
○ 도시공간구조의 성장과 지역분화에 있어 중심업무지구로부터 도매ㆍ경공업지구, 저급주택지구, 중급주택지구, 고급주택지구들이 주요 교통노선에 따라 쐐기형(wedge) 지대 모형으로 확대 배치된다.
○ 주택가격의 지불능력이 도시주거공간의 유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다음 입지와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20년 기출]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을 <보기>에서 올바르게 고른 것은? [19년 기출]
ㄴ. 공간적 중심지 규모의 크기에 따라 상권의 규모가 달라진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ㄷ. 특정 점포가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매출액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어떤 장소에 입지하여야 하는지를 제시하였다.
나: 레일리(W. Reilly)의 소매인력법칙
다: 크리스탈러(W.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
라: 넬슨(R. Nelson)의 소매입지이론
다음 이론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9년 기출]
ㄴ. 뢰시(A. Lösch)는 수요측면의 입장에서 기업은 시장확대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해야 한다고 보았다.
ㄷ. 튀넨(J.H.von Thünen)은 완전히 단절된 고립국을 가정하여 이곳의 작물재배활동은 생산비와 수송비를 반영하여 공간적으로 분화된다고 보았다.
다음의 ( )에 들어갈 이론 및 법칙으로 옳게 연결된 것은? [14년 기출]
○ ( ㄴ ) – 도시 내부 기능지역이 침입, 경쟁, 천이과정을 거쳐 중심업무지구, 점이지대, 주거지역 등으로 분화함
○ ( ㄷ ) – 도시공간구조가 교통망을 따라 확장되어 부채꼴 모양으로 성장하고, 교통축에의 접근성이 지가에 영향을 주며 형성됨
○ ( ㄹ ) – 도시공간구조는 하나의 중심이 아니라 몇 개의 분리된 중심이 점진적으로 성장되면서 전체적인 도시가 형성됨
지대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8년 기출]
지대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7년 기출]
ㄴ. 마셜(A. Marshall)은 일시적으로 토지와 유사한 성격을 가지는 생산요소에 귀속되는 소득을 준지대로 설명하고, 단기적으로 공급량이 일정한 생산요소에 지급되는 소득으로 보았다.
ㄷ. 튀넨(J.H.von Thünen)은 한계지의 생산비와 우등지의 생산비 차이를 절대지대로 보았다.
ㄹ. 마르크스(K. Marx)는 도시로부터 거리에 따라 농작물의 재배형태가 달라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수송비의 차이가 지대의 차이를 가져온다고 보았다.
지대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3년 기출]
도시공간구조이론 및 지대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1년 기출]
도시공간구조이론 및 지대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5년 기출]
다음 중 리카도(D. Ricardo)의 차액지대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20년 기출]
다음의 내용을 모두 설명하는 지대는? [16년 기출]
○ 지대란 토지의 비옥도나 생산력에 관계없이 발생함
○ 지대는 토지의 사유화로 인해 발생함
마샬(A.Marshall)의 준지대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3년 기출]
알론소(W. Alonso)의 입찰지대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2년 기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