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of 15 문제 completed
Questions:
You have already completed the 시험 before. Hence you can not start it again.
시험 로딩중…
You must sign in or sign up to start the 시험.
You must first complete the following:
0 of 15 문제 answered correctly
시험시간:
시험시간이 지났습니다.
점수획득: 0점/총점 0점, (0)
Earned Point(s): 0 of 0, (0)
0 Essay(s) Pending (Possible Point(s): 0)
다음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8년 기출]
크리스탈러(W.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에서 사용되는 개념에 대한 정의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3년 기출]
ㄴ. 도달범위: 중심지 활동이 제공되는 공간적 한계로 중심지로부터 어느 기능에 대한 수요가 ‘1’이 되는 지점까지의 거리
ㄷ. 최소요구치: 중심지 기능이 유지되기 위한 최소한의 수요 요구 규모
ㄹ. 최소요구범위: 판매자가 정상이윤을 얻는 만큼의 충분한 소비자를 포함하는 경계까지의 거리
A, B도시 사이에 C도시가 위치한다. 레일리(W.Reilly)의 소매인력법칙을 적용할 경우, C도시에서 A, B도시로 구매활동에 유인되는 인구규모는?(단, C도시의 인구는 모두 구매자이고, A, B도시에서만 구매하는 것으로 가정하며, 주어진 조건에 한함) [16년 기출]
○ B도시 인구 수: 100,000명
○ C도시 인구 수: 50,000명
○ C도시와 A도시 간의 거리: 10km
○ C도시와 B도시 간의 거리: 5km
레일리(W.Reilly)의 소매인력법칙을 적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 )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15년 기출]
○ 신도시 C의 인구 중 비구매자는 없고 A시, B시 에서만 구매활동을 한다고 가정할 때, 신도시 C 의 인구 중 A시로의 유인 규모는 ( ㄱ )명이고, B시로의 유인 규모는 ( ㄴ )명이다.
A도시와 B도시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C도시는 A도시로부터 5km, B도시로부터 10km 떨어져 있다. A도시의 인구는 5만명, B도시의 인구는 10만명, C도시의 인구는 3만명이다. 레일리(W.Reilly)의 ‘소매인력법칙’을 적용할 경우, C도시에서 A도시와 B도시로 구매 활동에 유인되는 인구규모는?(단, C도시의 모든 인구는 A도시와 B도시에서만 구매함) [13년 기출]
A도시 B도시
허프(D. Huff)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다른 조건은 동일함) [19년 기출]
허프(D, Huff)모형을 활용하여, X지역의 주민이 할인점 A를 방문할 확률과 할인점 A의 월 추정매출액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단, 주어진 조건에 한함) [17년 기출]
○ 1인당 월 할인점 소비액: 35만원
○ 공간마찰계수: 2
○ X지역의 주민은 모두 구매자이고, A, B, C 할인점에서만 구매한다고 가정
구분 | 할인점 A | 할인점 B | 할인점 C |
면적 | 500㎡ | 300㎡ | 450㎡ |
X지역
거주지로부터의 거리 |
5㎞ | 10㎞ | 15㎞ |
C도시 인근에 A와 B 두 개의 할인점이 있다. 허프(D. L. Huff)의 상권분석모형을 적용할 경우, B할인점의 이용객수는?(단, 거리에 대한 소비자의 거리마찰계수 값은 2이고, 도시인구의 60%가 할인점을 이용함) [14년 기출]
다음 표는 어느 시장지역 내 거주지 A에서 소비자가 이용하는 쇼핑센터까지의 거리와 규모를 표시한 것이다. 현재 거주지 A지역의 인구가 1,000명이다. 허프(Huff)모형에 의한다면, 거주지 A에서 쇼핑센터1의 이용객 수는?(단, 공간마찰계수는 2이고, 소요시간과 거리의 비례는 동일하며, 다른 조건은 불변이라고 가정함) [12년 기출]
구분 | 쇼핑센터1 | 쇼핑센터2 |
쇼핑센터의 면적 | 1,000㎡ | 1,000㎡ |
거주지 A로부터의 시간거리 | 5분 | 10분 |
다음을 모두 설명하는 입지이론은? [21년 기출]
컨버스(P. D. Converse)의 분기점 모형에 기초할 때, A시와 B시의 상권 경계지점은 A시로부터 얼마만큼 떨어진 지점인가?(단, 주어진 조건에 한함) [21년 기출]
베버(A.Weber)의 공업입지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단, 기업은 단일 입지 공장이고, 다른 조건은 동일함) [13년 기출]
각 지역과 산업별 고용자수가 다음과 같을 때, A지역과 B지역에서 입지계수(LQ)에 따른 기반산업의 개수는?(단, 주어진 조건에 한하며, 결과 값은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함) [21년 기출]
각 지역과 산업별 고용자수가 다음과 같을 때, A지역 X산업과 B지역 Y산업의 입지계수(LQ)를 올바르게 계산한 것은? (단, 주어진 조건에 한하여, 결과값은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함) [19년 기출]
각 도시의 산업별 고용자 수가 다음과 같을 때 X산업의 입지계수(locational quotient)가 1을 초과하는 도시를 모두 고른 것은?(단, 주어진 조건에 한함) [16년 기출]
(단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