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of 40 문제 completed
Questions:
You have already completed the 시험 before. Hence you can not start it again.
시험 로딩중…
You must sign in or sign up to start the 시험.
You must first complete the following:
0 of 40 문제 answered correctly
시험시간:
시험시간이 지났습니다.
점수획득: 0점/총점 0점, (0)
Earned Point(s): 0 of 0, (0)
0 Essay(s) Pending (Possible Point(s): 0)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상 재무제표 구성요소 및 인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3년 기출]
포괄손익계산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3년 기출]
㈜한국은 20×1년 1월 1일 내용연수 10년, 잔존가치 ₩0인 건물을 ₩20,000,000에 취득하여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다. 원가모형을 적용하는 건물의 20×2년 12월 31일 회수가능액은 ₩12,800,000이고, ㈜한국은 이에 대한 손상차손을 인식하였다.
20×3년 12월 31일에는 회수가능액이 ₩16,000,000으로 회복되는 경우, 건물과 관련된 회계처리가 ㈜한국의 20×3년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13년 기출]
㈜감평은 20×1년 1월 1일 영업활동에 사용할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건물을 취득하였다.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감평이 20×2년 인식해야 할 재평가손실(당기손실)은? [13년 기출]
재평가모형을 적용하고 있는 ㈜한국은 20×1년 1월 1일 건물을 ₩10,000,000에 구입하였는데, 내용연수는 5년, 잔존가치는 ₩2,000,000이고 정액법으로 감가상각하고 있다. ㈜한국은 20×1년 말과 20×2년 말 재평가한 결과, 건물의 공정가치는 각각 ₩7,000,000과 ₩6,000,000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20×2년 1월 1일 건물을 점검한 결과 연수합계법이 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것으로 추정되어 감가상각방법을 변경하였고, 잔존가치는 ₩0으로 추정되었다. 20×2년 말 재평가와 관련하여 재무제표에 인식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은? (단, 매년 말 감가상각 후 재평가한다.) [13년 기출]
㈜한국은 20×1년 7월 1일 사옥신축을 위하여 ㈜민국과 건설계약을 체결하였다. 사옥의 건설기간은 20×1년 7월 1일부터 20×2년 12월 31일까지이다. ㈜한국은 동 사옥건설과 관련하여 20×1년 7월 1일과 10월 1일에 각각 ₩3,000,000과 ₩6,000,000을 지출하였다. 건설기간동안 ㈜한국의 차입금과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차입금 A와 차입금 B는 일반차입금이며, 차입금 C는 동 사옥건설을 위하여 차입한 특정차입금으로 ㈜한국은 차입과 동시에 사옥건설을 위하여 전액 지출하였다. ㈜한국이 동 사옥건설과 관련하여 20×1년도에 자본화한 일반차입금의 차입원가가 ₩135,000이라면, ㈜한국이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한 차입금 C는? (단, 이자는 월할계산한다.) [13년 기출]
㈜대한은 20×1년 초 정부보조금 ₩3,000,000을 지원받아 기계장치(내용연수 3년, 잔존가치 ₩1,000,000)를 ₩10,000,000에 취득하였다. ㈜대한은 기계장치에 대해 원가모형을 적용하며, 연수합계법으로 감가상각한다. ㈜대한이 정부보조금을 기계장치의 차감항목으로 회계처리하였다면, 20×2년 말 기계장치의 장부금액은? [13년 기출]
㈜감평은 20×1년 7월 1일 건물(공정가치 ₩200,000)이 세워져 있는 토지(공정가치 ₩600,000)를 ₩700,000에 일괄 취득하였다. 건물은 사용목적이 아니어서 취득 즉시 철거하였다. 건물에 대한 철거비용은 ₩20,000이 발생하였으며, 건물철거 후 발생한 폐자재는 ₩10,000에 처분하였다. 토지의 취득원가는?
㈜대한은 20×1년 1월 1일 공장건물을 ₩5,000,000에 취득하여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대한은 공장건물에 대해 취득 이후 원가모형을 적용하고 감가상각방법으로 정액법을 선택하였다(내용연수는 20년, 잔존가치는 ₩0). ㈜대한은 20×6년 1월 1일 공장건물의 사용을 중단하고 투자부동산으로 전환하여 임대를 시작하였다. 분류변경 시점에서 잔여내용연수는 10년으로 재추정되었고 공정가치모형을 적용하여 회계처리하기로 하였다. 20×6년 1월 1일 공장건물의 공정가치는 ₩3,800,000이었으며 20×5년 12월 31일까지 인식된 손상차손누계액은 ₩150,000이었다. 이러한 분류변경이 20×6년도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단, 20×6년도 건물의 공정가치는 변동이 없다.)
무형자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3년 기출]
㈜한국의 20×1년 상품과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20×1년도 매출(판매가)은 ₩74,000이고, 20×1년 말 상품의 순실현가능가치는 ₩16,000이다. ㈜한국은 상품의 원가측정방법으로 소매재고법을 선택하였다. 원가흐름에 대한 가정으로 평균법을 적용하는 경우와 선입선출법을 적용하는 경우 각각의 평가방법에 따른 상품평가손실액의 차이는? (단, 평가손실충당금의 기초잔액은 없는 것으로 한다.) [13년 기출]
재고자산의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3년 기출]
영업 첫 해인 20×1년 말 현재 ㈜대한이 보유하고 있는 재고자산에 관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13년 기출]
㈜대한은 원재료를 사용하여 제품을 직접 생산・판매하며, 상품의 경우 다른 제조업자로부터 취득하여 적절한 이윤을 덧붙여 판매하고 있다. 20×1년도 ㈜대한이 인식해야 할 재고자산평가손실은? [13년 기출]
수익인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3년 기출]
㈜대한은 선입선출법을 적용하여 재고자산을 평가하고 있다. 20×1년 기초재고는 ₩30,000이며 기말재고는 ₩45,000이다. 만일 평균법을 적용하였다면 기초재고는 ₩25,000 기말재고는 ₩38,000이다. 선입선출법 적용시 ㈜대한의 20×1년 매출총이익이 ₩55,000이라면 평균법 적용시 ㈜대한의 20×1년 매출총이익은? [13년 기출]
㈜감평은 20×1년 4월 1일에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발행된 채무증권을 취득하고 매도가능금융자산으로 분류하였다.
㈜한국은 20×1년 3월 1일에 ㈜민국의 주식 500주를 주당 ₩1,000에 취득하고, 직접 관련된 수수료 ₩50,000을 지급하였다. ㈜한국은 동 주식을 매도가능금융자산으로 분류하였다. 동 주식의 각 연도 말 주당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다.
㈜대한은 다음의 사채를 사채권면에 표시된 발행일(20×1년 1월 1일)이 아닌 20×1년 4월 1일에 실제 발행하였다.
㈜한국은 20×1년 1월 1일 만기 3년, 액면 ₩10,000의 전환사채를 액면발행하였다. 전환사채의 표시이자율은 연 7%이고 이자는 매년 말에 지급한다. 전환조건은 다음과 같다.
건설업체 ㈜감평은 20×1년 5월 1일 ㈜대한과 도급계약을 체결하였다. ㈜감평은 진행기준에 의해 수익과 비용을 인식하며 진행률은 발생한 누적계약원가를 추정총계약원가로 나눈 비율로 측정한다. 공사기간은 20×4년 12월 31일까지이다. 최초 계약금액은 ₩100,000이었으며, 계약금액의 변동내역, 원가 등에 관한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20×3년 말 미청구공사 잔액은? [13년 기출]
㈜대한은 20×1년도 말에 재고자산이 ₩20,000 증가하였고, 매입채무는 ₩15,000 감소되었으며, 매출채권은 ₩22,000 증가되었다. 20×1년도 매출채권 현금회수액이 ₩139,500이고, 매입채무현금지급액이 ₩118,000일 때 20×1년도 매출총이익은? (단, 현금매입 및 현금매출은 없다고 가정한다.) [13년 기출]
㈜한국의 20×1년도 재무제표에는 기말 재고자산이 ₩750 과소계상 되어있으나, 20×2년도 기말 재고자산은 정확하게 계상되어 있다. 동 재고자산 오류가 수정되지 않은 ㈜한국의 20×1년도와 20×2년도 당기순이익은 각각 ₩3,800과 ₩2,700이다. ㈜한국은 오류를 수정하여 비교재무제표를 재작성하고자 한다. 20×1년 초 이익잉여금이 ₩11,500인 경우, 20×2년 말 이익잉여금은? [13년 기출]
20×1년도 ㈜한국의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20×1년도 당기순이익은? (단, 이자지급 및 법인세납부는 영업활동으로 분류한다.) [13년 기출]
㈜감평은 20×1년 초 다음과 같은 금융리스계약에 의해 기계장치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20×1년 1월 1일 ㈜한국은 이자부 받을어음 ₩1,000,000(만기 9개월, 표시이자율 연 10%)을 거래처로부터 수취하였다. 20×1년 7월 1일 ㈜대한은행에서 연 12%로 할인하였다. 동 할인이 제거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매출채권처분손실은? (단, 이자는 월할 계산한다.) [13년 기출]
주식기준보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3년 기출]
㈜대한은 20×1년 12월 31일에 현금 ₩120,000을 지불하고, ㈜민국을 합병하였다. 취득일 현재 ㈜민국의 식별가능한 순자산 장부금액과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다.
㈜대한의 현재 유동비율은 200%, 부채비율(=부채/자본×100)은 100%이다. 다음 거래 중 ㈜대한의 유동비율과 부채비율을 동시에 감소시키는 경우는? [13년 기출]
20×1년 초 ㈜대한의 납입자본의 내역은 다음과 같다.
Ⅱ. 자본잉여금
보통주주식발행초과금 ₩4,000,000
우선주주식발행초과금 1,000,000
계 ₩5,000,000
30. ㈜대한은 20×1년 1월 1일 ㈜서울의 의결권주식 30%(300주)를 주당 ₩1,500에 취득함으로써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되어 관계기업투자 주식으로 분류하였다. 취득 당시 ㈜서울의 순자산 장부금액은 ₩900,000이었다. 취득 당시 ㈜서울의 재고자산과 토지의 공정가치가 장부금액에 비해 각각 ₩100,000과 ₩200,000 더 높고 나머지 자산과 부채는 장부금액과 공정가치가 일치하였다. ㈜서울의 재고자산은 20×1년에 모두 판매되었다. 20×1년도 ㈜서울이 보고한 당기순이익은 ₩200,000이며 기타포괄이익은 ₩40,000이었다.
㈜서울은 20×1년 12월 31일에 ₩30,000의 현금배당을 실시하였다. ㈜대한이 지분법을 적용할 경우 20×1년도 말 관계기업투자주식은? [13년 기출]
㈜감평은 두 개의 보조부문(수선부문과 동력부문)과 두 개의 제조부문(조립부문과 포장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선부문에 집계된 부문원가는 노무시간을 기준으로 배부되며, 동력부문에 집계된 부문원가는 기계시간을 기준으로 배부한다. 보조부문원가를 제조부문에 배부하기 이전, 각 부문에 집계된 원가와 배부기준 내역은 다음과 같다.
상호배분법을 사용하여 보조부문의 원가를 제조부문에 배부하면, 조립부문에 집계된 부문원가 합계액은? (단, 보조부문 용역의 자가소비분은 무시한다.) [13년 기출]
감평회계법인은 컨설팅과 회계감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금까지 감평회계법인은 일반관리비 ₩270,000을 용역제공시간을 기준으로 컨설팅과 회계감사서비스에 각각 45%와 55%씩 배부해 왔다. 앞으로 감평회계법인이 활동기준원가계산을 적용하기 위해, 활동별로 일반관리비와 원가동인을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컨설팅은 스탭수 35%, 컴퓨터사용시간 30% 그리고 고객수 20%를 소비하고 있다. 활동기준원가계산을 이용하여 컨설팅에 집계한 일반관리비는 이전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얼마만큼 증가 또는 감소하는가? [13년 기출]
㈜감평은 가중평균법에 의한 종합원가계산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직접재료는 공정의 초기에 전량 투입되고 가공원가는 공정 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된다. ㈜감평은 원가계산을 위해 다음과 같은 자료를 수집하였다.
㈜감평은 제조원가 항목을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및 제조간접원가로 분류한 후, 개별-정상원가계산을 적용하고 있다. 기초재공품(작업 No.23)의 원가는 ₩22,500이며, 당기에 개별 작업별로 발생된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를 다음과 같이 집계하였다.
제조간접원가는 직접노무원가에 비례하여 예정배부한다. 기초에 직접노무원가는 ₩20,000으로 예측되었으며, 제조간접원가는 ₩30,000으로 예측되었다. 기말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은 No.25뿐이라고 할 때, 당기제품제조원가는? [13년 기출]
㈜한국은 동일한 공정에서 A, B, C라는 3가지 결합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결합원가 ₩1,600은 제품별 순실현가치에 비례하여 배부한다. 제품별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제품 단위당 매출총이익이 높은 것부터 낮은 순으로 나열한 것은? [13년 기출]
㈜감평은 제품A를 단위당 ₩100에 판매하고 있는데, ㈜한국으로부터 제품A 2,000단위를 단위당 ₩70에 구입하겠다는 제안을 받았다. 제품A의 단위당 원가는 다음과 같다.
㈜감평은 선입선출법에 의해 실제원가계산을 사용하고 있다. ㈜감평은 전부원가계산에 의해 20×1년 영업이익을 ₩65,000으로 보고하였다. ㈜감평의 기초제품수량은 1,000단위이며, 20×1년 제품 20,000단위를 생산하고 18,000단위를 단위당 ₩20에 판매하였다. ㈜감평의 20×1년 고정제조간접원가가 ₩100,000이고 기초제품의 단위당 고정제조간접원가가 20×1년과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변동원가계산에 의한 20×1년 영업이익은? (단, 재공품은 고려하지 않는다.) [13년 기출]
㈜감평은 이익중심점인 A사업부와 B사업부를 운영하고 있다. A사업부가 생산하는 열연강판의 변동제조원가와 고정제조원가는 각각 톤당 ₩2,000과 톤당 ₩200이며, 외부 판매가격과 판매비는 각각 톤당 ₩3,000과 톤당 ₩100이다. 현재 B사업부가 열연강판을 외부에서 톤당 ₩2,600에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를 A사업부로부터 대체받을 것을 고려하고 있다. A사업부로부터 대체받을 것을 고려하고 있다. A사업부는 B사업부가 필요로 하는 열연강판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유휴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내대체하는 경우 판매비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A사업부가 사내대체를 수락할 수 있는 최소사내대체가격은? [13년 기출]
㈜감평은 표준원가계산을 사용하고 있다. 20×1년 제품 8,600단위를 생산하는데 24,000 직접노무시간이 사용되어 직접노무원가 ₩456,000이 실제 발생되었다. 제품 단위당 표준직접노무시간은 2.75시간이고 표준임률이 직접노무시간당 ₩19.20이라면, 직접노무원가의 능률차이는? [13년 기출]
㈜감평은 품질관련 활동원가를 예방원가, 평가원가, 내부실패원가 및 외부실패원가로 구분하고 있다. 다음에 제시한 자료 중 외부실패원가로 집계할 금액은? [13년 기출]